고양이발일기
ES를 사용해서 검색기능 추가하기 (1) 본문
프론트쪽은 데이터 받아오는 기능까지 완성했다.
기존에 만들어져 있던 ES 도메인이 있어서 해당 도메인을 사용했고 음...
이제 해야하는 일이 데이터 처리하는 일..? 근데 해당 기능도 구현이 되어있다고 하셨으니 이제 공부해서 확장시키는 기능 공부만 하면 될 것 같다.
그래서 해당 공부를 하기위한 오늘 프로젝트 ㄷㄷㄷㅈ
참고 자습서 -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search-service/latest/developerguide/search-example.html
Amazon Elasticsearch Service를 사용하여 검색 애플리케이션 생성 - Amazon Elasticsearch Service
표준 API Gateway 및 Lambda 요금 정책이 적용되지만, 이 자습서에서는 사용량이 제한적이므로 비용은 무시할만한 수준입니다.
docs.aws.amazon.com
API Gateway 설정
1. API Gateway console에서 API 생성하기를 눌러줍니다.
2. REST API를 선택해줍니다.
3. 해당 스크린대로 설정해준 후 API 생성을 해줍니다.
4. 메서드 생성을 눌러줍니다.
5. GET을 선택해주고 확인을 눌러서 확인해줍니다.
6. 스크린처럼 설정해 주고 저장을 해줍니다.
이때, lambda 함수는 곧 생성을 해줄테니 임의의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해당이름으로 다시 람다에서 함수를 만드면 되니깐용
7. 메서드 요청에서 해당 스크린 처럼 설정을 해줍니다.
8. 작업 > API 배포를 선택해주고 새 스테이지를 선택해줍니다.
9. 기본 메서드 설정은 스크린샷의 화면대로 설정해줍니다.
이제 API Gateway에서 설정해주는 것은 끝이 났습니당~.~
https://some-id.execute-api.us-west-1.amazonaws.com/search-es-api-test
엔드 포인트는 위 uri와 파라미터로 설정해준 query가 되겠다.
이 메서드가 호출이 되면 lambda로 전송이 되어 search-es-lambda 함수를 호출한다 (๑′ᴗ‵๑)
람다 함수 생성은 다음 글에서 찌겠다 룰루 ㅋ~
'개발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lasticsearch 범위 쿼리 검색 (0) | 2021.08.16 |
---|---|
ES를 사용해서 검색기능 추가하기 (2) (0) | 2021.08.12 |
Amazon ES에 테스트 데이터 업로드해보기 (1) | 2021.08.06 |
Elasticsearch 기초 및 데이터 CRUD (0) | 2021.08.05 |
AWS Elasticsearch Service 시작하기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