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개발 일기 (41)
고양이발일기

새로운 일자리에서 SharePoint 를 사용한다... MS 제품인데 Team 내에서 문서들을 공유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웹사이트 같은 플랫폼이다. JnJ에서 (하루) 일하면서 느낀건데 정말 MS 제품만 사용한다. 그래서 참 제약이 많은듯 ;-; 목표 SharePoint에 올리는 Excel 문서랑 연동해서 Home 화면에서 사용자 편의성 있게 만들기 기존에 있는 앱들 중에 내가 하려는 목표와 가장 유사한 앱이 embed tag 뿐이었다. 그래서 excel 에서 embed tag를 export해와서 복붙하는 수 밖에 없었는데 단순한 표만 나와서 심미성이 별로 일 뿐 만 아니라 height를 엑셀의 높이에 맞게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서 (정형화된 수치만 표시 가능했다) 이를 해결하려고 한다. 그래도 웹 ..
프로젝트를 하면서 React Native에 styled-component를 사용하면 에디터에 " Could not find a declaration file for module 'styled-components/native'." 라는 에러가 뜰 때가 있다. 타입스크립트를 함께 쓰면서 생기는 문제이니 npm add @types/styled-components-react-native -D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해결된다.

캡스톤 프로젝트로 하이브리드 앱인 react-native 를 하기로 했다. 작년 즈음 회사에서 했던 react-native 는 에러로 엄청나게 고생시켰던 기억이 있지만 나에게 js 는 떨어트릴 수 없는 존재인가보다 ㅠ react-native는 Facebook(현 Meta)에서 만든 오픈소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javascript로 안드로이드와 ios 어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개발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이다. 프로젝트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1. 팀원들이 모두 웹 개발자이기에 javascript에 대한 이해도가 높음 2. 안드로이드나 ios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한정 짓기에는 프로젝트의 목표와 부합하지 않음 3. 프론트엔드 개발을 맡은 팀..

사건 개요 Django 배포를 위해 Elastic Beanstalk 사용 도중 requirements.txt에서 요구하는 mysqlclient 2.1.0 버전이 말썽을 일으킴 ㅠㅠ Instance deployment failed to install application dependencies. The deployment failed. Instance deployment failed. For details, see 'eb-engine.log'. 계속 이러한 에러가 떠서 결국 eb-engine.log 파일을 다운 받아서 열어보기로 했다. 참고로 eb-engine.log 같은 로그 파일은 환경 - 로그 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eb-engine.log 파일을 까보니 Collecting mysqlclient==..

AWS 콘솔에서 OpenSearch Service(구 Elasticsearch Service)를 택해줍니다. OpenSearch Service에서 새 도메인을 생성해줍니다. 다음 캡쳐본의 부분만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 - 도메인 이름 - 배포유형 : 개발 및 테스트 / 버전은 자유 - 데이터 노드 : 인스턴스 유형 - 자유 - 네트워크 : 퍼블릭 액세스 (개인의 사용 목적에 따라) -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 : 마스터 사용자 생성 / 마스터 암호 설정 -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 : 체크 해제 - 액세스 정책 :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만 사용 - 액세스 정책 : 도메인 수준 액세스 정책 구성 - 개인 설정에 따라 액세스 정책 설정 +) 추가로 여기까지 했는데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고급 클러스터..

오느른 빅데이터플랫폼 수업에서 진행했던 AWS cloud9을 활용해 mongodb 실습을 주제로 하겠다. AWS Cloud9 콘솔에서 Create environment를 눌러줍니다. environment의 이름을 정해줍니다. 설정은 스크린샷 대로 진행해줍니다. 설정 확인 창까지 확인하면 설정 끝입니다! 만드는 중 .. 터미널 창을 열어줍니다. (New Terminal) Install Docker $ sudo yum update -y $ sudo yum install docker -y $ sudo service docker start $ sudo usermod -a -G docker ec2-user $ logout logout 까지 실행시켜주면 창이 꺼집니다. 그리고 docker ps 를 입력하면 도커를 ..